제프리 초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프리 초서(Geoffrey Chaucer, 약 1343년 ~ 1400년 10월 25일)는 잉글랜드의 시인, 작가, 철학자, 외교관, 궁정인이었으며, '영국 문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1343년경 런던에서 포도주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357년 엘리자베스 드 버러 백작 부인의 시동으로 궁정 생활을 시작했다. 백년 전쟁에 참전하고, 외교 사절로 이탈리아를 방문하여 페트라르카 등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1374년 런던 세관 감독관으로 임명되어 12년간 근무하며 경제적 안정을 얻었고, 1386년에는 켄트 지역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공작 부인의 책》, 《트로일루스와 크라이세이데》, 《새들의 의회》, 《캔터베리 이야기》 등이 있으며, 중세 영어의 표준화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공무원 - 새뮤얼 피프스
새뮤얼 피프스는 17세기 잉글랜드의 해군 행정가이자 의회 의원으로, 왕정복고 시대 사회상과 런던 대역병, 런던 대화재 등의 주요 사건을 상세히 기록한 일기로 유명하며, 해군 발전 기여와 왕립 학회 회장 역임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1343년 출생 - 조케이 천황
조케이 천황은 남북조 시대에 즉위하여 북조와의 전쟁을 겪었으며, 동생에게 양위하기 전까지 남조의 세력을 유지하려 노력했고, 다이쇼 천황의 조서로 정식으로 제98대 천황으로 인정받았다. - 1343년 출생 - 최유경
최유경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위화도 회군을 이성계에게 보고하여 조선 개국에 기여, 개국원종공신에 책록되었으며, 청백리에 녹선되고 송천서원에 배향되었다. - 1400년 사망 - 오우치 요시히로
오우치 요시히로는 규슈, 야마구치 등을 지배한 유력 다이묘로, 남조 세력 격퇴에 기여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나,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와의 갈등으로 반란을 일으킨 후 사망했다. - 1400년 사망 - 나관중
나관중은 원나라 말에서 명나라 초에 활동한 중국 소설가로, 《삼국지연의》와 《수호전》 등의 작품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출생지와 생존 연대, 단독 저작 여부 등은 논쟁의 대상이다.
제프리 초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프리 초서 |
로마자 표기 | Geoffrey Chaucer |
출생일 | 1343년경 |
출생지 | 런던, 잉글랜드 |
사망일 | 1400년 10월 25일 (56-57세) |
사망지 | 런던, 잉글랜드 |
안장 장소 | 웨스트민스터 사원, 런던, 잉글랜드 |
직업 | 작가 시인 철학자 관료 외교관 |
활동 시대 | 잉글랜드 후기 중세 |
배우자 | 필리파 로엣 (1366년 결혼) |
자녀 | 4명 ( 토머스 초서 포함) |
![]() | |
발음 | IPA: /ˈtʃɔːsər/, respell: CHAW-sər |
작가 정보 | |
언어 | 중세 영어 |
문학 시대 | 중세 영어 문학 |
장르 | 서사시 서정시 단편 소설 논문 |
문학 사조 | 영국 르네상스의 선구자 |
활동 기간 | 1368년부터 |
주요 작품 | 캔터베리 이야기 |
영향 관계 | |
영향을 준 인물 | 오비디우스, 조반니 보카치오 |
추가 정보 | |
'우리 아름다운 언어의 최초 발견자' | 중세 영어를 사용한 대표적인 인물 |
영어의 위상 | 중세 시대에는 영어의 위상이 낮았으며, 라틴어와 프랑스어가 더 중요했지만, 초서의 노력으로 영어가 성공하고 도시적이고 국제적인 언어가 되었다. |
2. 생애
영국 문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제프리 초서는 1343년경 런던의 부유한 포도주 상인 집안에서 태어났다.[88] 그의 가문은 원래 이프스위치 출신의 상인들이었으며, 아버지 존 초서는 왕실에도 포도주를 납품하는 등 성공한 상인이었다.
초서는 어린 시절 아버지의 인맥 덕분에 얼스터 백작 부인인 엘리자베스 드 버러의 시동으로 들어가 상류 사회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88][82] 1359년, 백년 전쟁에 참전하여 프랑스로 갔다가 랭스에서 포로가 되었으나, 에드워드 3세가 몸값으로 16GBP를 지불하여 풀려났다.[82] 이후 그는 전령으로 프랑스, 스페인, 플랑드르 등지를 여행했으며,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순례를 다녀왔을 가능성도 있다.
1366년경 왕비 필리파 에노의 시녀였던 필리파 드 로에(Philippa de Roet)와 결혼했다.[82] 그의 처제 캐서린 스윈포드는 훗날 랭커스터 공작 존 오브 곤트의 세 번째 부인이 되었고, 존 오브 곤트는 초서의 중요한 후원자가 되었다. 1367년에는 왕의 측근인 에스콰이어 신분이 되어 궁정에서 활동했다.
초서는 외교관으로서도 활약하여 여러 차례 해외 임무를 수행했다. 특히 이탈리아 방문은 그의 문학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373년 제노바와 피렌체를 방문했을 때 단테, 페트라르카, 조반니 보카치오 등의 작품을 접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그의 작품에 이탈리아 문학의 요소가 반영되는 계기가 되었다. 초서는 1374년부터 약 12년간 런던 세관의 징세 관리로 일하며 경제적 안정을 얻었고, 이 시기에 많은 작품 활동을 했다. 이후 왕실 공사 감독관 등 여러 관직을 거쳤다.
그는 당시 공식 문서나 학술 저술에 주로 사용되던 프랑스어나 라틴어 대신, 자국어인 영어로 문학 작품을 쓴 선구적인 작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문학 활동은 크게 세 시기로 나뉜다. 초기 '프랑스기'에는 프랑스 문학의 영향을 받아 《공작 부인의 서》(The Book of the Duchess) 등을 썼고, '이탈리아기'에는 단테와 보카치오의 영향을 받아 《영예의 집》(The House of Fame), 《선녀 열전》(The Legend of Good Women) 등을 집필했다. 마지막 시기에는 인간과 사회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주는 그의 최대 걸작이자 미완성 작품인 《캔터베리 이야기》(The Canterbury Tales)를 썼는데, 이 작품은 조반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94년 리처드 2세로부터 연간 20GBP의 연금을 받았다. 1399년 왕위에 오른 헨리 4세 역시 연금을 갱신해주었다. 초서는 1400년 10월 25일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혔다.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2984) 초서와 달의 크레이터에도 초서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2. 1. 가문과 초기 생애
제프리 초서는 1340년대 초 런던에서 태어났을 가능성이 높으며, 일부 기록(묘비 포함)에 따르면 1343년생이다.[7] 그러나 정확한 생년월일과 출생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의 가문은 여러 세대에 걸쳐 런던에서 포도주 상업에 종사했으며, 원래는 이프스위치의 상인 가문이었다.[10][11] 초서의 증조부는 여관 주인이었고, 조부는 포도주 공급업자였으며, 아버지 존 초서는 왕실 임명을 받은 중요한 포도주 상인으로 성공했다.[7] 그의 이름 '초서'는 프랑스어 ''chaucier''에서 유래했는데, 한때는 '구두 제조업자'로 생각되었으나 현재는 스타킹이나 레깅스 제조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1324년, 아버지 존 초서가 12살 때, 그의 한 고모에게 납치되는 사건이 있었다. 이는 이프스위치의 재산을 지키기 위해 어린 존을 자신의 딸과 결혼시키려는 시도였다. 이 고모는 결국 투옥되었고 250GBP의 벌금을 물었는데, 이는 당시 상당한 금액으로 초서 가문이 경제적으로 안정적이었음을 보여준다.[13] 존 초서는 1349년 아그네스 캅튼과 결혼했고, 그녀는 1349년 삼촌인 하모 드 콥턴으로부터 런던의 상점 24곳을 포함한 상당한 재산을 상속받았다. 하모 드 콥턴은 런던 탑의 주화조각가였다고 전해진다.[14] 존 초서는 1347년부터 1349년까지 사우샘프턴 항의 왕실 주류 관리실 대리로 에드워드 3세를 섬기기도 했다.[82]
초서의 초기 생애와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그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357년에 나타나는데, 당시 그는 아버지의 주선으로 얼스터 백작 부인인 엘리자베스 드 버러의 시동으로 일하고 있었다.[88][82] 이를 통해 초서는 상류 사회에 진입하여 궁정 생활을 시작했으며, 이후 관료, 외교관, 공무원으로 활동하게 된다.
1359년, 백년 전쟁 초기 단계에 에드워드 3세가 프랑스를 침공하자, 초서는 엘리자베스 드 버러의 남편인 라이오닐 앤트워프 공작과 함께 영국군 일원으로 참전했다. 1360년 랭스 포위 공격 중에 포로로 잡혔으나, 에드워드 3세가 몸값으로 16GBP를 지불하여 석방되었다.[82] 석방 이후 브레티뉴 조약 체결에도 시종으로 참석한 기록이 있다.[82]
이후 한동안 그의 행적은 불분명하지만, 전령으로 프랑스, 스페인, 플랑드르 등지를 여행했거나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순례를 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약 1366년경, 초서는 에드워드 3세의 왕비 필리파 에노의 시녀였던 필리파 드 로에(Philippa de Roet)와 결혼했다.[82]
2. 2. 궁정 생활과 백년전쟁 참전
1357년 초서의 이름이 처음으로 기록에 등장하는데, 얼스터 백작 부인 엘리자베스 드 버그의 가계부에서였다. 그는 아버지의 인맥 덕분에 귀족 부인의 시동(page)이 될 수 있었다.[88][15] 이는 당시 소년들이 기사 작위나 명예로운 직위를 얻기 위해 거치던 일반적인 과정이었다. 백작 부인은 에드워드 3세의 차남인 라이오닐 앤트워프 공작과 결혼했기 때문에, 이 직책은 어린 초서를 궁정 핵심 인물들과 연결해주었고 그는 평생 궁정 주변에 머물게 된다.1359년, 백년 전쟁 초기 단계에 에드워드 3세가 프랑스를 침공하자, 초서는 엘리자베스 백작 부인의 남편 라이오닐과 함께 영국군의 일원으로 참전했다. 1360년 랭스 공성전 중 프랑스군에게 포로로 잡혔으나, 에드워드 3세가 몸값으로 16파운드를 지불하여 석방되었다.[17] 당시 16파운드는 상당한 금액이었다.

석방 이후 초서의 행적은 명확하지 않지만, 프랑스, 스페인, 플랑드르 등지를 전령(messenger)으로 여행했거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로 순례를 떠났을 가능성이 있다.
1366년경, 초서는 필리파 드 로에트(Philippa de Roet)와 결혼했다. 그녀는 에드워드 3세의 왕비 헤이나우트의 필리파의 시녀였으며, 그녀의 여동생 캐서린 스윈포드는 훗날 (1396년경) 존 오브 곤트 공작의 세 번째 부인이 되었다. 이 결혼은 초서가 강력한 후원자인 존 오브 곤트와 인연을 맺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1367년 6월 20일, 그는 에드워드 3세 왕실의 '''침실 시종'''(valet), 시종(yeoman) 또는 에스콰이어(Esquire)가 되어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 그의 아내 필리파 역시 궁정에서 연금을 받았다. 그는 여러 차례 해외 여행을 했는데, 그중 일부는 이러한 직책 수행의 일환이었다.

2. 3. 외교관 및 관리 경력
1357년 엘리자베스 드 버그 백작 부인의 가계부에 처음 이름이 등장하는데, 아버지의 인맥을 통해 귀족 여성의 시종이 된 것으로 보인다.[15][88] 이는 당시 소년들이 기사 작위나 명예로운 직책을 얻기 위한 일반적인 경로였다. 백작 부인은 에드워드 3세의 아들인 클래런스 공작 라이오넬과 결혼했으며, 이 덕분에 초서는 젊은 시절부터 궁정 생활을 시작하여 평생 그곳에 머물렀다. 그는 궁정인, 외교관, 공무원으로 활동했으며, 1389년부터 1391년까지는 왕실 공사 감독관으로 일했다.[16]1359년, 백년 전쟁 초기 단계에서 에드워드 3세가 프랑스를 침공하자, 초서는 엘리자베스 백작 부인의 남편인 라이오넬 공작과 함께 영국군의 일원으로 참전했다. 1360년 랭스 공성전 중 포로로 잡혔으나, 에드워드 3세가 당시 상당한 금액인 16파운드의 몸값을 지불하여 석방되었다.[17][82] 이후 브레티뉴 조약 체결에도 시종으로 참석한 기록이 있다.[82]
이후 몇 년간의 행적은 불분명하지만, 사절로서 프랑스, 스페인, 플랑드르 등지를 여행했거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로 순례를 갔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1366년경, 초서는 에드워드 3세의 왕비 헤이나우트의 필리파의 시녀였던 필리파 드 로에트와 결혼했다. 필리파의 언니 캐서린 스윈포드는 나중에 초서의 후원자가 되는 건트의 존의 세 번째 부인이 되었다.
1367년 6월 20일, 초서는 에드워드 3세의 왕실 궁정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침실 시종'''(valet), 시종(esquire) 또는 기사(yeoman)로 임명되었다. 그의 아내 필리파 역시 궁정에서 연금을 받았다. 그는 시종으로서의 역할을 포함하여 여러 차례 해외 여행을 다녔다. 1368년에는 밀라노에서 열린 라이오넬 공작과 갈레아초 2세 비스콘티의 딸 비올란테 비스콘티의 결혼식에 참석했을 가능성이 있다. 당시 장 프로이사르와 페트라르카 같은 문학계 거장들도 이 결혼식에 참석했던 것으로 알려져, 초서가 이들과 교류했을 수도 있다.
1370년에는 군사 원정의 일환으로 피카르디로 갔고, 1373년에는 제노바와 피렌체를 방문했다. 많은 학자들은 이 이탈리아 여행에서 초서가 페트라르카나 조반니 보카치오와 접촉했을 것으로 추정한다.[22] 이 만남을 통해 그는 중세 이탈리아 시 형식과 이야기에 영향을 받았고, 이는 훗날 그의 작품에 반영되었다.[23][24]
1374년 6월 8일, 초서는 런던 항구의 세관 감독관이라는 매우 중요한 직책에 임명되었다.[25] 그는 이 자리에 12년 동안 머물렀는데, 이는 당시로서는 상당히 긴 기간이었다. 이 시기에 경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하며 그의 대표작 대부분을 집필하거나 구상하기 시작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1374년 성 조지의 날, 에드워드 3세는 초서에게 "여생 동안 매일 와인 1gal"을 하사했는데, 이는 그의 초기 시적 업적을 인정받은 결과로 해석되며, 그가 왕실에서 시인으로서 인정받았음을 보여준다. 이 봉급은 리처드 2세 즉위 후 1378년 4월 18일 화폐 보상으로 전환되었다.
1377년에도 초서는 여행을 떠났지만 목적은 불분명하다. 후대 기록에 따르면, 장 프로이사르와 함께 미래의 왕 리처드 2세와 프랑스 공주와의 결혼을 주선하여 백년 전쟁을 종식시키려는 비밀 임무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결혼이 성사되지 않았으므로 임무는 실패한 셈이다.
1378년, 리처드 2세는 초서를 밀라노에 사절(비밀 사절)로 파견하여 비스콘티 가문과 영국의 콘도티에로(용병 지휘관)인 존 호크우드 경과 협상하도록 했다. 이때 만난 호크우드의 모습이 《캔터베리 이야기》에 등장하는 기사 인물의 묘사에 영향을 주었다는 추측이 있다.
1379년 10월, 초서는 전 하인 세실리 샴페인을 불법적으로 고용했다는 이유로 토마스 스탠던에게 노동자 법령 위반으로 고소당했다. 이 사건은 1380년 7월까지 법정 문서가 작성되었으나 기소되지는 않았다. 과거에는 샴페인이 초서를 "나의 납치(라틴어: raptu meo)와 관련된 모든 종류의 소송"에서 면제한다는 문서 때문에 실제 납치나 강간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나[27],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는 당시 노동법과 관련된 용어로, 세실리 샴페인이 이전 고용주인 스탠던의 허락 없이 초서에게 고용된 상황을 가리키는 것으로 밝혀졌다.[28]
세관 감독관으로 일하는 동안 초서는 켄트로 이주한 것으로 보이며, 프랑스 침공 위협이 있던 시기에 켄트 지역의 평화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386년에는 켄트 지역의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어 그해 열린 '놀라운 의회'에 참석했다. 그는 의회 개회 기간 대부분 참석했으며, 그 대가로 24파운드 9실링을 받았다.[30] 같은 해 10월 15일에는 스크로프 대 그로스베너 사건에서 증언했다.[31] 이 시점 이후로 아내 필리파에 대한 기록은 없으며, 그녀는 1387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초서는 상소 귀족들이 일으킨 정치적 혼란 속에서도 살아남았는데, 이는 그가 처형된 일부 인사들과 알고 지냈음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 일이다.

1389년 7월 12일, 초서는 왕실 공사 감독관(Clerk of the King's Works)으로 임명되어 왕실 건설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32]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대규모 공사는 없었지만, 웨스트민스터 궁전과 윈저 성의 성 조지 예배당을 수리하고, 런던 탑의 부두 건설을 계속했으며, 1390년 토너먼트를 위한 관람석을 건설했다. 이 직책은 하루에 2실링의 보수를 받았는데, 이는 세관 감독관 시절 봉급의 세 배가 넘는 금액이었다. 또한 워스터셔주 페컨햄 숲의 왕실 공원 관리인이라는 명예직도 겸임했다.[33]
1390년 9월, 기록에 따르면 초서는 업무 중 강도를 당해 부상을 입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1391년 6월 17일 공사 감독관 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6월 22일에는 서머싯주 노스 페더턴의 왕실 숲인 페더턴 공원의 부임업무관(Deputy Forester)으로 임명되었다.[34] 이 직책은 봉급 외에도 부수적인 이익을 얻을 기회가 많았다.
1394년, 리처드 2세는 그에게 연간 20파운드의 연금을 지급했다.[35] 리처드 2세가 1399년 폐위된 후 초서의 이름은 역사 기록에서 잠시 사라진다. 그의 생애 마지막 기록들은 새 왕 헨리 4세가 연금을 갱신해주었고, 1399년 12월 24일 웨스트민스터 사원 교회지구 내 주택 임대 계약을 맺었다는 내용이다.[36] 헨리 4세가 연금 지급을 약속했지만, 초서가 쓴 《초서의 지갑에 대한 불평》(The Complaint of Chaucer to his Purse)이라는 시는 연금이 제때 지급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초서에 대한 마지막 언급은 1400년 6월 5일 그에게 빚진 돈 일부가 상환되었다는 기록이다.
2. 4. 후기 생애와 사망
1394년, 리처드 2세로부터 20GBP의 연금을 받았다. 1399년에 즉위한 헨리 4세는 초서에 대한 연금을 갱신했고, 1400년 6월 5일에는 미지급 연금의 일부가 지급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초서는 1400년 10월 25일에 사망했지만, 이 날짜의 증거는 사후 100년 이상 지난 후에 세워진 묘비뿐이다.3. 작품 활동
초서의 가장 중요한 작품은 단연 《캔터베리 이야기》이다. 이 작품은 조반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에서 영향을 받아, 캔터베리 대성당으로 향하는 다양한 순례자들이 각자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으로 구성된 설화집이다.[83] 비록 미완성으로 남았지만, 중세 영어로 쓰인 영문학의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캔터베리 이야기》 외에도 중요한 작품으로 트로일러스와 크라이세이데[84][85] 등이 있다. 이 작품은 트로이 전쟁을 배경으로 한 사랑 이야기이다. 초서는 이 외에도 여러 작품을 남겼으며, 그의 풍부한 경험과 학식을 바탕으로 뛰어난 작품들을 남겨 후대에 "The father of English poetry|영시의 아버지eng"로 불리게 되었다. 그의 작품 활동은 영문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1. 초기 작품
초서의 첫 주요 작품은 1368년에 사망한 랭커스터의 블랑슈를 위한 애가인 '공작 부인의 책'(The Book of the Duchess)이다. 다른 두 편의 초기 작품으로는 '아넬리다와 아르시테'(Anelida and Arcite)와 '명예의 집'(The House of Fame)이 있다. 또한 초서는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Consolation of Philosophy)과 기욤 드 로리스가 저술하고 장 드 묑이 확장한 '장미 이야기'(Roman de la Rose)를 영어로 번역하기도 했다.3. 2. 이탈리아 문학의 영향
초서는 외교 사절 등으로 이탈리아를 방문하면서 당대 인문주의자들과 교류하고 이탈리아 문학의 영향을 받았다. 1368년 그의 주인이었던 클래런스 공이 밀라노에서 갈레아초 2세 비스콘티의 딸과 결혼했는데, 이 결혼식에 페트라르카가 참석했기 때문에 초서 역시 이 자리에서 페트라르카를 만났을 가능성이 있다. 초서는 페트라르카의 영향을 받아 그가 사용한 소네트 형식을 영문학에 도입하기도 했다.또한 1370년에는 군사 원정의 일환으로 제노바를 방문했고, 1373년에는 제노바와 피렌체를 방문했다. 이러한 이탈리아 경험은 그의 작품 세계에 영향을 미쳤는데, 대표적인 예로 그의 주요 저서인 《캔터베리 이야기》는 조반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 《캔터베리 이야기》는 캔터베리 성당으로 가는 순례자들이 각자 이야기를 하는 형식의 설화집으로, 비록 미완성으로 남았지만 영문학을 대표하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3. 3. 대표작: 캔터베리 이야기
《캔터베리 이야기》(The Canterbury Taleseng)는 제프리 초서의 가장 유명한 작품이자 중세 영어로 쓰인 영문학의 대표적인 걸작으로 꼽힌다.[83] 이 작품은 이탈리아 작가 조반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83]작품의 형식은 캔터베리 대성당으로 순례를 떠나는 다양한 사회 계층의 사람들이 모여 각자의 이야기를 설화 형식으로 풀어내는 액자 구조를 취하고 있다.[83] 이를 통해 당시 잉글랜드 사회의 다채로운 모습과 여러 인간 군상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초서 본인은 기독교 신자로서 작품 서두에서 독자들에게 예수 그리스도께 감사할 것을 권하기도 했다.[43] 그러나 그는 동시에 당시 교회 내 일부 인사들의 부패와 타락상을 인지하고 있었으며,[44] 이러한 비판적 시선은 작품 속 인물 설정과 묘사에도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초서가 1378년 외교 사절로 이탈리아 밀라노를 방문했을 때 만난 용병 대장 존 호크우드의 모습은 《캔터베리 이야기》 속 '기사 이야기' 부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비록 미완성으로 남았지만, 《캔터베리 이야기》는 영문학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후대의 수많은 작가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83]
3. 4. 기타 작품
「아스트롤라베에 관한 논문」(A Treatise on the Astrolabe영어)은 천체 관측 기기인 아스트롤라베의 사용법을 설명한 최초의 영어 해설서이다.그 외의 작품으로는 다음이 있다.
- ''오리게네스에 관한 모들레인'' (An ABC영어)
- ''사자의 책'' (The Book of the Duchess영어)
4. 종교관
초서는 기독교 신자였으며 동시대의 기독교인들을 존경했다.[86] 그는 자신의 대표작인 『캔터베리 이야기』에서 독자들에게 작품에서 즐거움을 느꼈다면 "모든 이해와 선량함의 근원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 감사하도록 하십시오"라고 당부하며 신앙심을 드러냈다.[43][87]
그러나 동시에 초서는 당시 교회 내 일부 성직자들이 타락하고 부패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현실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44]
5. 영향
제프리 초서는 다채로운 경력과 풍부한 학식을 바탕으로 "영시의 아버지"(The father of English poetryeng)로 불리는 위대한 시인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외교 사절로 이탈리아를 방문했을 때 인문주의자 페트라르카와 교류하며 그의 영향을 받아 소네트 형식을 영문학에 도입하는 등, 후대 문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과학 분야에도 관심을 보여 천체 관측 기기인 아스트롤라베에 관한 최초의 영어 해설서인 「아스트롤라베에 관한 논문」을 저술하기도 했다.
5. 1. 언어적 영향
초서는 중세 영어, 특히 런던 방언을 문학 언어로 사용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대륙식 강세-음절 운율로 글을 썼는데, 이는 12세기경부터 영국 문학에서 두운을 사용하는 앵글로색슨 운율의 대안으로 발전해 온 양식이었다.[51] 초서는 운율 혁신으로 유명하며, 왕가의 운율을 고안했고, 10음절로 된 5음보 율격시를 사용한 최초의 영국 시인 중 한 명이었다.[52] 그의 ''훌륭한 여인들의 전설''에서 처음 등장한 이러한 5음보 시행을 운이 맞는 연구로 배열하는 방식은 그의 후기 작품 대부분에서 사용되었고 영어의 표준적인 시적 형식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지역 방언의 재미있는 억양을 활용한 유머러스한 장치는 ''집사의 이야기''에서 처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초서의 시는 당대 다른 작가들의 시와 함께 켄트 방언과 미들랜즈 방언을 결합하여 중세 영어의 런던 방언을 표준화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53] 그러나 초서가 속했던 궁정, 대법원, 관료주의의 영향이 표준 영어 발전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는 반론도 존재한다.
현대 영어는 초서의 언어와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 이는 그의 사후 발생한 대모음 변화 때문이다. 이 변화는 현대 독자들이 초서의 작품을 원문으로 읽기 어렵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다. 또한 초서 시대에는 구어체 영어에서 단어 끝의 ''-e'' 발음이 사라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의 운문에서 마지막 ''-e''의 발음 여부는 불확실하며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다만 발음될 경우 슈와(ə)로 소리 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철자의 불규칙성에도 불구하고, 초서가 사용한 어휘 상당수는 현대 독자도 알아볼 수 있다. 옥스포드 영어 사전(OED)은 초서를 약 2,000개에 달하는 영어 단어를 문헌상 처음 사용한 작가로 기록하고 있다. 이 단어들은 당시에 이미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초서의 작품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acceptable'', ''alkali'', ''altercation'', ''amble'', ''angrily'', ''annex'', ''annoyance'', ''approaching'', ''arbitration'', ''armless'', ''army'', ''arrogant'', ''arsenic'', ''arc'', ''artillery'', ''aspect'' 등이 그 예시에 속한다.[54]
초서는 영어 구어 전통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언어적 업적은 유럽 여러 지역에서 단테처럼 구어 문학을 창작하려는 역사적 흐름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초서와 동시대 스코틀랜드에서는 존 바버가, 잉글랜드 북부에서는 진주 시인 등이 비슷한 활동을 펼쳤다.
초서의 언어는 ''베오울프''보다는 현대 영어에 훨씬 가깝지만, 여전히 상당한 차이가 있어 대부분의 출판물에서는 현대 독자를 위해 내용을 현대화한다.[57][58] 다음은 ''소환인의 이야기'' 서문의 일부로, 초서의 원문과 현대어 번역을 비교한 것이다.
:
후대의 시인들은 초서의 언어적 업적을 높이 평가했다. 토마스 호클레브는 초서를 "우리 아름다운 언어의 최초 발견자"라고 칭송했으며,[64] 존 리드게이트는 그를 "우리 언어의 길잡이(lodesterre|로데스테레enm)"라고 불렀다.[65] T. R. 라운즈베리는 "초서가 처음으로 명성을 부여한 영국의 언어는 그가 다른 모든 언어를 멸시하고 영어를 선택하도록 이끈 예지력을 충분히 정당화했으며, 그 대가로 자신의 명성을 아낌없이 맡긴 그에게 지속적인 명성을 부여했습니다."라고 평가했다.[63]
초서 작품에 나타난 종교 및 사회 비판적 요소는 특히 롤라드파 지지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그들은 수도사, 사제 등 교회 권력에 대한 초서의 풍자적인 묘사에 공감했으며, 초서를 자신들과 같은 비판적 지식인으로 여겼을 가능성이 있다. 1464년에는 존 배런이라는 소작농이 롤라드파 이단 혐의로 존 채드워스 링컨 주교에게 심문받을 때, 다른 의심스러운 책들과 함께 "캔터베리 이야기 책"을 소유하고 있다고 자백한 기록이 남아있다.[70]
5. 2. 문학적 영향

초서는 영국 문학에서 두운을 사용하는 기존의 앵글로색슨 운율 대신, 12세기경부터 발전해 온 대륙식 강세-음절 운율을 사용하여 작품을 썼다.[51] 그는 운율 혁신으로 유명한데, 특히 왕가의 운율(rhyme royal)을 고안했으며, 이전에는 소수의 짧은 작품에서만 사용되었던 10음절 시행, 즉 5음보 율격시를 본격적으로 사용한 최초의 영국 시인 중 한 명이었다.[52] ''훌륭한 여인들의 전설''에서 처음 선보인 이 5음보 시행을 운이 맞는 연구(couplet)로 배열하는 방식은 그의 후기 작품 대부분에서 사용되었고, 이후 영어 시의 표준적인 형식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또한, 그의 초기 풍자 시는 후대에 영향을 미쳤는데, 지역 방언의 억양을 활용한 유머는 ''집사의 이야기''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초서의 시는 당대 다른 작가들의 작품과 함께 켄트 방언과 미들랜즈 방언을 결합하여 중세 영어의 런던 방언을 표준화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53] 하지만 초서가 속했던 궁정, 대법원, 관료 사회의 영향력이 표준 영어 발전에 더 큰 역할을 했을 가능성도 있다.
현대 영어는 초서 시대의 언어와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 이는 초서 사후에 발생한 대모음 변화 때문이다. 이 변화로 인해 현대 독자들이 초서의 작품을 원문 그대로 읽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초서 운문에서 마지막 '-e'의 발음 여부는 불확실하며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당시 구어체 영어에서 '-e'가 사라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 사용이 불규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운율상 때로는 발음되고 때로는 묵음 처리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발음될 경우 슈와 소리로 읽는 것이 일반적이다.
철자의 불규칙성에도 불구하고, 초서가 사용한 어휘 상당수는 현대 독자들도 알아볼 수 있다. ''옥스포드 영어 사전''(OED)은 초서를 수많은 영어 단어의 최초 사용자(문증자)로 기록하고 있다. 이 단어들은 당시에도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초서의 작품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인 경우가 많다. 'acceptable', 'alkali', 'altercation', 'amble', 'angrily', 'annex', 'annoyance', 'approaching', 'arbitration', 'armless', 'army', 'arrogant', 'arsenic', 'arc', 'artillery', 'aspect' 등 약 2,000개의 단어가 초서의 작품에서 처음으로 문증되었다.[54]

초서의 작품이 널리 알려지면서 많은 후대 시인들이 그의 작품을 모방하거나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새로운 작품을 창작했다. 존 리드게이트는 초서의 미완성작인 ''캔터베리 이야기''를 이어 쓴 초기 시인 중 한 명이다. 로버트 헨리슨은 ''크레시다의 유언''에서 초서의 ''트로일루스와 크레시다''에서 미완으로 남은 크레시다의 이야기를 완성했다. 초서 작품의 많은 사본에는 이들 후대 시인의 작품이 함께 포함되어 있어, 후대의 낭만주의 시대 시인들의 평가는 이러한 '추가물'을 초서의 원작과 구분하지 못한 데서 비롯되기도 했다.
17세기와 18세기의 작가들, 예를 들어 존 드라이든은 초서 이야기의 탁월함은 인정했지만, 그의 운율과 각운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었다. 이는 당시 중세 영어를 제대로 이해하는 비평가가 드물었고, 인쇄 과정에서 원문이 훼손되어 운율이 불규칙하게 보였기 때문이다.[55] 오늘날 우리가 아는 초서의 정전(正典)은 19세기 후반 월터 윌리엄 스키트의 연구 덕분에 확립될 수 있었다. 초서 사후 약 75년 뒤, ''캔터베리 이야기''는 윌리엄 칵스턴에 의해 영국에서 인쇄된 최초의 책 중 하나가 되었다.[56]
초서는 영어 구어(口語) 문학 전통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언어적 성취는 유럽 여러 지역에서 단테의 사례처럼 자국어 문학을 발전시키려는 시대적 흐름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초서보다 약간 앞선 시기 인물인 존 바버가 유사한 역할을 했으며, 잉글랜드 북부의 진주 시인(Pearl Poet)의 사례처럼 이러한 경향은 더 일반적이었을 수 있다.
초서의 언어는 ''베오울프''와 같은 고대 영어보다는 현대 영어에 훨씬 가깝지만, 여전히 상당한 차이가 있어 대부분의 출판물에서는 현대 독자를 위해 관용구나 철자를 현대화한다.[57][58] 다음은 ''소환사의 이야기''(The Summoner's Tale) 서문의 일부로, 초서의 원문과 현대어 번역을 비교한 것이다.
밸런타인데이가 낭만적인 사랑과 처음으로 연관된 기록은 초서의 시 ''새들의 의회''(Parlement of Foules, 1382)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작품은 새들이 모여 짝을 찾는다는 내용의 꿈의 시(dream vision)이다.[60][61] 이 시는 당시 15세였던 영국 왕 리처드 2세와 보헤미아의 안나의 약혼 1주년을 기념하여 쓰여졌으며,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For this was on seynt Volantynys day
:Whan euery bryd comyth there to chese his make
:Of euery kynde that men thinke may
:And that so heuge a noyse gan they make
:That erthe & eyr & tre & euery lake
:So ful was that onethe was there space
:For me to stonde, so ful was al the place.[62]
:(번역: 이날은 성 발렌타인 데이였으니, 온갖 종류의 새들이 제 짝을 고르러 그곳에 모여들었네. 그들이 어찌나 큰 소리를 내던지 땅과 공기, 나무와 모든 호수가 가득 차 내가 설 자리조차 거의 없었으니, 온 장소가 그렇게 가득 찼다네.)
:"초서가 처음으로 명성을 부여한 영국의 언어는 그가 다른 모든 언어를 멸시하고 영어를 선택하도록 이끈 예지력을 충분히 정당화했으며, 그 대가로 자신의 명성을 아낌없이 맡긴 그에게 지속적인 명성을 부여했습니다." —T. R. 라운즈베리.[63]
시인 토마스 호클레브는 초서를 직접 만났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를 자신의 롤 모델로 삼아 "우리 아름다운 언어의 최초 발견자"라고 칭송했다.[64] 존 리드게이트는 자신의 저서 ''왕자의 몰락''(The Fall of Princes)에서 초서를 "우리 언어의 길잡이별(lodesterre)"이라고 불렀다.[65] 약 2세기 후, 퍼시벌 시드니 경은 ''시의 변호''(An Apology for Poetry)에서 ''트로일루스와 크레시다''를 높이 평가했다.[66] 19세기와 20세기 초에는 초서가 영국의 시적 유산을 상징하는 인물로 여겨졌다.[67]
찰스 디킨스는 1850년 소설 ''데이비드 코퍼필드''에서 초서가 ''트로일루스와 크레시다''에서 누가복음 23장 34절("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을 인용한 방식을 차용했다. G. K. 체스터턴은 "위대한 정경 영어 작가들 중에서 초서와 디킨스가 가장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68]
초서 작품의 필사본이 다수 남아 있다는 사실은 인쇄술 발명 이전에도 그의 시가 꾸준히 읽혔음을 보여준다. ''캔터베리 이야기''만 해도 전체 또는 일부가 포함된 필사본이 83개나 남아 있으며, ''트로일루스와 크레시다'' 필사본도 헨리 4세의 개인 소장본을 포함하여 16개가 전해진다.[69] 시간이 흐르며 소실된 필사본까지 고려하면, 초서의 작품은 당대에 매우 널리 퍼져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초기의 독자층은 주로 귀족이었지만, 1400년 초서 사망 이전부터 문자를 읽고 쓸 줄 아는 중산층과 상인 계층으로 독자층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특히 롤라드파(Lollards) 지지자들은 초서를 자신들과 같은 개혁적 인물로 여겼을 가능성이 크다. 그들은 초서가 수도사, 사제 등 교회 권력자들을 풍자적으로 묘사한 부분에 깊이 공감했다. 1464년, 버킹엄셔 애머샴의 소작농 존 배런은 롤라드파 이단 혐의로 링컨 주교 존 채드워스 앞에 소환되었을 때, 다른 의심스러운 책들과 함께 "캔터베리 이야기 책"을 소유하고 있다고 자백하기도 했다.[70]
5. 3. 현대적 수용
2001년 미국 영화 《나이트의 이야기》(원제: ''A Knight's Tale'')에서는 초서가 주요 등장인물 중 하나로 등장하며, 폴 베타니가 연기했다. 이 영화는 1370년경 유럽을 배경으로, 초서의 행적이 불명확한 시기를 다루며 기사 겨루기에 도전하는 주인공의 동료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또한, 그를 기념하여 소행성(2984) 초서와 달의 크레이터 '초서'에도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6. 작품 목록
제프리 초서는 궁정인, 외교관, 관리 등 다채로운 경력을 쌓으며 얻은 폭넓은 경험과 이탈리아 방문 등을 통해 접한 인문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펼쳤다. 그의 풍부한 학식과 문학적 재능은 그를 "영시의 아버지"(The father of English poetryeng)로 불리게 만들었다. 그의 저술 중에는 천체 관측 기기인 아스트롤라베에 대한 영어 해설서인 「아스트롤라베에 관한 논문」과 같이 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주는 작품도 있다.
초서의 주요 작품들과 단편 시, 그리고 저작 여부가 불분명하거나 유실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들에 대한 자세한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주요 작품

제프리 초서의 주요 작품들은 대부분 정확한 창작 연대가 밝혀지지 않았으나,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대략적인 순서가 추정되고 있다. 그의 작품 활동은 다양한 장르에 걸쳐 중요한 작품들을 남겼다.
초서의 첫 주요 작품은 1368년 사망한 랭커스터의 블랑슈를 기리는 애가인 《공작 부인의 책》(The Book of the Duchess)이다. 다른 초기 작품으로는 《아넬리다와 아르시테》(Anelida and Arcite)와 《명예의 집》(The House of Fame)이 있다.
런던 세관 감독관으로 재직했던 1374년부터 1386년까지는 초서가 왕성하게 활동하며 많은 주요 작품을 집필한 시기이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새들의 의회》(Parlement of Foules), 《착한 여인들의 전설》(The Legend of Good Women), 그리고 《트로일루스와 크라이세이데》(Troilus and Criseyde) 등이 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캔터베리 이야기》(The Canterbury Tales)는 1380년대에 집필을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5]
《캔터베리 이야기》는 조반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에서 영향을 받은 설화집으로, 캔터베리 대성당으로 향하는 다양한 계층의 순례자들이 각자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록 미완성으로 남았지만, 생생한 인물 묘사와 사회 풍자, 그리고 중세 영어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며 영문학을 대표하는 걸작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83]
초서는 창작 활동 외에도 중요한 번역 작업을 수행했다.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Consolation of Philosophy)을 《보에스》(Boece)라는 제목으로 번역했으며, 기욤 드 로리스가 시작하고 장 드 묑이 확장한 프랑스 서사시 《장미의 로망》(Roman de la Rose)의 일부를 영어로 옮기기도 했다.
또한, 초서는 문학적 재능뿐만 아니라 과학 분야에도 조예가 깊었음을 보여주는 저술을 남겼다. 《천문측정기 논문》(A Treatise on the Astrolabe)은 천체관측기구인 아스트롤라베의 구조와 사용법을 상세히 설명한 책으로, 영어로 쓰인 최초의 기술 서적으로 평가받기도 한다.[47]
아래는 초서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여러 이야기로 구성된 작품들은 오랜 기간에 걸쳐 집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작품명 (원제) | 비고 |
---|---|
《공작 부인의 책》(The Book of the Duchess) | 1368년 이후, 랭커스터의 블랑슈 추모 애가 |
《명예의 집》(The House of Fame) | 초기 작품, 미완성 |
《아넬리다와 아르시테》(Anelida and Arcite) | 초기 작품, 미완성 |
《새들의 의회》(Parlement of Foules) | 1374년 ~ 1386년 사이 집필 추정 |
《보에스》(Boece) |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 번역 |
《트로일루스와 크라이세이데》(Troilus and Criseyde) | 1374년 ~ 1386년 사이 집필 추정 |
《착한 여인들의 전설》(The Legend of Good Women) | 1374년 ~ 1386년 사이 집필 추정, 미완성 |
《캔터베리 이야기》(The Canterbury Tales) | 1380년대 집필 시작 추정, 대표작, 미완성 |
《천문측정기 논문》(A Treatise on the Astrolabe) | 과학 저술 |
장미의 로망(The Romaunt of the Rose) | 《장미의 로망》 번역 (일부) |
이 외에도 초서는 다수의 단편 시와 발라드를 남겼다.
- ''ABC''
- ''서기관 아담에게 보내는 초서의 말''(Chaucers Wordes unto Adam, His Owne Scriveyn) (저자 논란 있음)[79]
- ''연민에 대한 불평''(The Complaint unto Pity)
- ''지갑에게 하는 초서의 불평''(The Complaint of Chaucer to his Purse)
- ''화성의 불평''(The Complaint of Mars)
- ''금성의 불평''(The Complaint of Venus)
- ''그의 여인에게 하는 불평''(A Complaint to His Lady)
- ''옛 시대''(The Former Age)
- ''운명''(Fortune)
- ''고귀함''(Gentilesse)
- ''확고함의 부재''(Lak of Stedfastnesse)
- ''스코건에게 보내는 초서의 서찰''(Lenvoy de Chaucer a Scogan)
- ''벅턴에게 보내는 초서의 서찰''(Lenvoy de Chaucer a Bukton)
- ''잠언''(Proverbs)
- ''로즈몬드에게 바치는 발라드''(To Rosemounde)
- ''진실''(Truth)
- ''여성다운 고귀함''(Womanly Noblesse)
6. 2. 단편 시
- ''ABC''
- ''서기관 아담에게 보내는 초서의 말'' (논란의 여지 있음)[79]
- ''연민에 대한 불평''
- ''자신의 지갑에 대한 초서의 불평''
- ''화성의 불평''
- ''금성의 불평''
- ''그의 여인에게 하는 불평''
- ''옛 시대''
- ''운명''
- ''고귀함''
- ''확고함의 부족''
- ''스코건에게 보내는 초서의 서간시''
- ''벅턴에게 보내는 초서의 서간시''
- ''속담''

- ''로즈몽드에게 보내는 발라드''
- ''진실''
- ''여성다운 고귀함''
6. 3. 저작 여부 불분명 작품
다음 작품들은 제프리 초서의 저작인지 여부가 불분명하거나, 후대에 그의 작품으로 잘못 알려진 것들이다.- '''Against Women Unconstant|여자의 변덕에 대하여eng'''
- '''A Balade of Complaint|불평의 발라드eng'''
- '''Complaynt D'Amours|애정의 불평eng'''
- '''무정한 아름다움''' (Merciles Beauteeng)
- '''The Equatorie of the Planets|행성의 등각의eng''': 아랍어로 된 같은 제목의 저서에서 유래한 라틴어 저서의 대략적인 번역이다. 이 작품은 행성의 궤도와 위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었던 등각의의 구성과 사용법을 설명한다 (당시에는 태양이 지구를 공전한다고 믿었다). 저자로서 초서의 이름을 밝히는 필사본 주석 외에, 초서의 작품으로 일반적으로 인정받는 유사한 ''천문판에 관한 논고''가 이 작품을 초서에게 귀속시키는 주요 증거이다. 그러나 초서가 이 작품을 저술했다는 증거는 의심스러우며, 따라서 ''리버사이드 초서''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만약 초서가 이 작품을 짓지 않았다면, 당대의 다른 사람이 썼을 가능성이 있다.
- '''Maudelain on Origenes|오리게네스에 관한 모들레인eng'''
- '''The Book of the Leoun|사자의 책eng''': 초서의 취소록에 언급된 작품이다. 궁정 연애를 다룬 기욤 드 마쇼의 'Dit dou lyonfra'을 초서가 개작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 '''De miseria conditionis humanae|인류의 비참한 기원eng''': 인노첸시오 3세의 동명 라틴어 저작을 번역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아래 작품들은 초서의 작품으로 오인되었으나 현재는 다른 작가의 작품이거나 위작으로 여겨진다.
- '''순례자의 이야기(The Pilgrim's Tale)''': 16세기에 쓰였으며 초서풍의 암시를 다수 포함한다.
- '''농부의 이야기(The Plowman's Tale)''' 또는 '''The Complaint of the Ploughman|농부의 불평eng''': 롤라드파 풍자시로, 후에 프로테스탄트 문헌으로 편입되었다.
- '''농부의 신조(Pierce the Ploughman's Crede)''': 롤라드파 풍자시로, 후에 프로테스탄트들이 차용했다.
- '''The Ploughman's Taleeng''': 대부분 토마스 호클레브(Thomas Hoccleve)의 "Item de Beata Virgine"를 변형한 것이다.[80]
- '''La Belle Dame Sans Merci|자비 없는 아름다운 여인fra''': 알랭 샤르티에(Alain Chartier)의 시를 리처드 로스(Richard Roos)가 번역한 것이다.[81]
- '''The Testament of Love|사랑의 유언eng''': 실제로는 토마스 어스크(Thomas Usk)의 작품이다.
- '''잭 어플랜드(Jack Upland)''': 롤라드파 풍자시이다.
- '''꽃과 잎(The Floure and the Leafe)''': 15세기 우화이다.
- '''쟁기에게 신의 가호를''': 초서의 「수도승 이야기」에서 12절을 차용한 작품이다.
6. 4. 유실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
다음 작품들은 현재는 전해지지 않아 유실된 것으로 여겨진다.- 오리게네스에 관한 모들레인 (Origenes upon the Maudelayne영어)
- 사자의 책 (The Book of the Lion영어): 이 작품은 초서가 자신의 작품 목록 끝에 덧붙인 취소록(retraction)에도 언급되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 작품이 기욤 드 마쇼(Guillaume de Machaut)가 쓴 궁정풍 사랑 이야기인 'Dit dou lyon'을 초서가 영어로 옮기거나 개작한 것이 아닐까 추측하기도 한다.
6. 5. 파생 작품
다음은 제프리 초서의 작품으로 잘못 알려졌거나 저자가 불확실한 작품들의 목록이다. 이러한 작품 중 일부는 초서의 명성에 기대어 후대에 쓰였거나, 그의 작품으로 오인되어 초서 전집에 포함되기도 했다. 특히 종교개혁 시기에는 특정 종교적 관점을 지지하는 것처럼 보이는 작품들이 초서의 이름으로 유통되기도 했다.작품명 | 설명 |
---|---|
인류의 비참한 기원 | 인노첸시오 3세의 De miseria conditionis humanae|인간 조건의 비참함에 대하여la를 번역했을 가능성이 있는 작품이다. |
마들렌에 관한 오리게네스 | 상세 불명. |
사자의 책 | 초서의 취소록에 언급된 작품으로, 기욤 드 마쇼의 궁정 연애 이야기인 Dit dou lyon을 수정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
'순례자의 이야기(The Pilgrims Tale)'' | 16세기에 쓰였으며 초서풍의 암시를 많이 담고 있다. |
'농부의 이야기(The Plowmans Tale) 또는 농부의 불평(The Complaint of the Ploughman)'' | 롤라드 풍자시로, 후에 프로테스탄트 문헌으로 편입되었다. |
'농부의 신조(Pierce the Ploughmans Crede)'' | 롤라드 풍자시로, 후에 프로테스탄트들이 차용했다. |
'농부의 이야기(The Ploughmans Tale)'' | 대부분 토마스 호클레브의 "Item de Beata Virgine"를 변형한 것이다.[80] |
자비 없는 아름다운 여인(La Belle Dame Sans Merci) | 흔히 초서의 작품으로 오인되지만, 실제로는 알랭 샤르티에의 시를 리처드 로스(Richard Roos)가 번역한 것이다.[81] |
사랑의 유언(The Testament of Love) | 실제 저자는 토마스 어스크이다. 이 작품은 초서의 작품으로 오랫동안 오인되어 그의 생애를 재구성하는 데 잘못 사용되기도 했다. |
잭 어플랜드(Jack Upland) | 롤라드 풍자시이다. |
꽃과 잎(The Floure and the Leafe) | 15세기 우화 작품이다. |
쟁기에게 신의 가호를 |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 중 「수도승 이야기」에서 12절을 차용한 작품이다. |
참조
[1]
뉴스
Geoffrey Chaucer in Context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4-20
[2]
뉴스
Chaucer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4-20
[3]
서적
A Companion to British Literature, Volume 2: Early Modern Literature, 1450–1660
John Wiley & Sons
2013
[4]
뉴스
Chaucer and the idea of Englishness
https://www.historye[...]
History Extra
2022-05-22
[5]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Poetry in English: Volume 3. Medieval Poetry: 1400–150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4-27
[6]
서적
The Yale Companion to Chauce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6-01-01
[7]
서적
The Encyclopedia of Medieval Literature in Britain, 4 Volume Se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1-09-11
[8]
서적
Chaucer and His World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Ltd
1992
[9]
서적
Chaucer: A European Lif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04-09
[10]
저널
The Ipswich ancestors of Geoffrey Chaucer
2024
[11]
저널
The Malins in Chaucer's Ipswich Ancestry
2019-06-01
[12]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Family Names in Britain and Ireland
https://www.oxfordre[...]
Oxford UP
2016
[13]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Geoffrey Chaucer
Clarendon Press
1899
[14]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Geoffrey Chaucer: Romaunt of the rose. Minor poems
Clarendon Press
1894
[15]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Geoffrey Chaucer
Clarendon Press
1899
[16]
서적
Critical Companion to Chaucer: A Literary Reference to His Life and Work
Facts on File
2006
[17]
서적
Chaucer Life Records
[18]
서적
Medieval English Nunneries, c. 1275 to 1535
https://books.google[...]
Biblo & Tannen Publishers
2007-12-19
[19]
서적
Chaucer and His England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007-12-19
[20]
서적
Chaucer A to Z: The Essential Reference to his Life and Works
New York
1999
[21]
서적
Holt Literature and Language Arts
Holt, Rinehart, and Winston
2003
[22]
서적
Companion to Chaucer Studies
Oxford UP
1979
[23]
서적
(Hopper)
[24]
저널
The Legend of Thebes and Literary Patricide in Chaucer, Boccaccio, and Statius
2014
[25]
서적
English Writers: an attempt towards a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Cassell & Co.
1890
[26]
뉴스
Geoffrey Chaucer note asking for time off work identified as his handwriting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3-07-13
[27]
웹사이트
Geoffrey Chaucer and Cecily Chaumpaigne: Rethinking the record
https://blog.nationa[...]
2022
[28]
저널
The Archival Iceberg: New Sources for Literary Life-Records
2022-10-01
[29]
서적
A Concise Companion to Chaucer
Blackwell
2006
[30]
저널
Chaucer and the Parliament of 1386
1943
[31]
서적
The controversy between Sir Richard Scrope and Sir Robert Grosvenor, in the Court of Chivalry
https://archive.org/[...]
2014-06-02
[32]
서적
English Writers: an attempt towards a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Cassell & Co.
1890
[33]
간행물
Forest of Feckenham
Birmingham and Warwickshire Archaeology Society's Transactions and proceedings
[34]
저널
Chaucer the Forester: The Friar's Tale, Forest History, and Officialdom
2013-01-01
[35]
서적
[36]
서적
Vol. V
[37]
서적
Who Murdered Chaucer?: A Medieval Mystery
Methuen
[38]
뉴스
Poets' Corner History
https://www.westmins[...]
2020-05-12
[39]
서적
The Riverside Chaucer
Houghton Mifflin Company
[40]
서적
The Riverside Chaucer
Houghton Mifflin Company
[41]
서적
The Riverside Chaucer
Houghton Mifflin Company
[42]
서적
A New View of Chaucer
Duke University Press
[43]
웹사이트
Geoffrey Chaucer
https://www.christia[...]
2008-08-08
[44]
웹사이트
Was Chaucer in favor of the church or opposed to it? – eNotes
https://www.enotes.c[...]
[45]
서적
The Riverside Chaucer
Oxford UP
[46]
서적
The Canterbury Tales of Chaucer
W. Pickering and R. and S. Prowett
[47]
서적
The Abbey Scientists
Roger & Robert Nicholson
[48]
논문
Reviewed Work(s): The Authorship of ''The Equatorie of the Planetis'' by Kari Anne Rand Schmidt
[49]
논문
Reviewed Work(s): The Authorship of ''The Equatorie of the Planetis'' by Kari Anne Rand Schmidt
[50]
논문
Reviewed Work(s): The Authorship of the ''Equatorie of the Planetis'' by Kari Anne Rand Schmidt
[51]
서적
English Historical Metr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서적
Geoffrey Chaucer of England
E. P. Dutton
[53]
서적
Questions at Issue in our English Speech
Broadway Publishing
[54]
서적
The making of Chaucer's English: a study of wor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서적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Norton
[56]
뉴스
William Caxton's illustrated second edition of The Canterbury Tales
https://web.archive.[...]
2021-07-22
[57]
뉴스
The Canterbury Tales: Chaucer's 'plein speke' is a raucous read
https://www.theguard[...]
2018-09-11
[58]
뉴스
A New App Guides Readers Through Chaucer's 'Canterbury Tales'
https://www.smithson[...]
2020-02-05
[59]
웹사이트
The Canterbury Tales
http://etext.lib.vir[...]
2024-03-01 #Dead link date
[60]
논문
St. Valentine, Chaucer, and Spring in February
https://www.jstor.o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07-01
[61]
논문
Chaucer et les origines de la Saint Valentin
https://www.research[...]
[62]
웹사이트
Henry Ansgar Kelly, Valentine's Day
https://web.archive.[...]
2001-02-01
[63]
논문
The Myth of Origin and the Making of Chaucer's English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64]
웹사이트
The Regiment of Princes
http://www.lib.roche[...]
[65]
서적
Fifteenth Century Chaucer
[66]
웹사이트
Defence of Chawcer
http://www.uoregon.e[...]
[67]
서적
Chaucer among the Victorians
Oxford University Press
[68]
서적
The Chaucer Review
https://www.academia[...]
Penn State University Press
[69]
서적
The Riverside Chaucer
Houghton Mifflin
[70]
서적
Chaucer and the Authority of Language: The Politics and Poetics of the Vernacular in Late Medieval England
Carnegie-Mellon Press
[71]
웹사이트
A Leaf from The Canterbury Tales
http://www.uwm.edu/L[...]
William Caxton
[72]
웹사이트
UWM.edu
http://www.uwm.edu/L[...]
[73]
웹사이트
The Canterbury Tales of Chaucer: To Which are Added an Essay on his Language and Versification, and an Introductory Discourse, Together with Notes and a Glossary by the late Thomas Tyrwhitt. Second Edition. Oxford: Clarendon Press, 1798. 2 Volumes
http://www.uwm.edu/L[...]
[74]
서적
The Acts and Monuments of John Foxe: With a Life of the Martyrologist, and Vindication of the Work, Volume 4
Seeley, Burnside, and Seeley
1846
[75]
ODNB
Urry, John (1666–1715)
[76]
서적
Chaucer: The Critical Heritage. Volume 1: 1385–1837
https://books.google[...]
Routledge & Kegan Paul
2014-05-18
[77]
웹사이트
Guide to the Chaucer Research Project Records 1886-1965
https://www.lib.uchi[...]
[78]
서적
The Western Canon: The Books and School of the Ages
https://archive.org/[...]
Harcourt Brace
[79]
논문
''Adam Scriveyn'' and Chaucer's Metrical Practice
[80]
서적
The Canterbury Tales: Fifteenth-Century Continuations and Additions
Medieval Institute Publications
[81]
서적
Chaucerian Dream Visions and Complaints
Medieval Institute Publications
[82]
학술지
チョーサーと中世ヨーロッパ文学伝統 : チョーサー文学の成立に向かって
https://seijo.repo.n[...]
成城大学
2004-11-00
[83]
웹사이트
カンタベリー物語とは
https://kotobank.jp/[...]
[84]
서적
トロイルスとクリセイデ
彩流社, 英宝社
[85]
서적
トロイルス
国文社
[86]
웹사이트
Was Chaucer in favor of the church or opposed to it? – eNotes
https://www.enotes.c[...]
[87]
웹사이트
Geoffrey Chaucer
http://www.christian[...]
[88]
서적
(제목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